본문 바로가기

내 인생 최고의 영화

펄프 픽션 (Pulp Fiction, 1994)

 어디선가 들어본 "펄프적 감수성"은 이 영화를 보고 난 한참 뒤에야 배운 타란티노의 언어다. 이 언어가 표현하는 장면은 쓸모 없는 강렬함에 잔인하면서도 끊기지 않는 난잡함이 존재한다. 수 많은 사건들이 순환되지는 않는 연쇄적인 장면처럼 펼쳐지는 <펄프 픽션>은 괴상하게도 이 작은 사건들을 하나로 조합해보면 그 기간은 그리 길지 않아보인다. 영화는 가르쳐주고자 하는 내용이 크게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저 총만 쏴대고 수다만 떨면서 패스트푸드를 식사하며 수다나 떨고 있는 이 의미없는 소용돌이 속에서 그야말로 "끝내주는" 미학이 있다.

 <펄프 픽션>은 죽기 전에 꼭 봐야할 최고의 영화 중 다섯 손가락에 꼽힐 정도지만 정작 모두가 인정하는 이 영화 속에 남는 것은 껍데기 밖에 없다. 술과 마약, 돈과 함께 찌들어 사는 긴박감 없는 인간들의 대화는 더 이상 지방도 없는 이슬일 뿐이다. 쿠엔틴 타란티노는 <펄프 픽션>으로 장르 영화의 개성적인 매력과 충격을 압도적으로 점화시키고 수 많은 오마쥬와 다양한 과거 유명 감독들의 스타일을 기름지게 표현하였다. 그 사이에서 논쟁이 오가는 수 많은 대본들은 수 많은 비평가와 영화 팬들이 그의 과도한 장난을 염탐하게 만드려는 변태적인 재치가 돋보인다.

 이 작품은 너무나도 유명한 쿠엔틴 타란티노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94년에 선보인 그의 두 번째 장편 작품이다. 지금 봐도 등장하는 배우들은 매우 유명한 배우들로 존 트라볼타와 사무엘 L. 잭슨, 우마 서먼, 브루스 윌리스에 팀 로스 그리고 하비 케이틀까지, 아마도 이 작품을 접하고 나서나 접하기 전에도 이 배우들의 연기력에는 풍부한 당김힘이 있다.
 타란티노의 데뷔작인 <저수지의 개들>과 나란히 맞대어 보자면 <펄프 픽션>역시 식당에서 대화가 시작되며 그가 식당 속의 테이블처럼 대화의 초점이 가장 잘 모이는 장소는 없다고 생각하는 걸 짐작할 수 있다. <데쓰 프루프>에서도 잔인한 장면들이 지나가고나면 관객들에게 '지금은 걱정하지 말라'는 듯 식당에서 대화를 진행시킨다. 반대로 분위기를 장전시키기 위해 그가 선사하는 대화의 장은 역시 식당이다. 비슷한 경우로 그가 직접 시나리오를 쓴 토니 스콧의 <트루 로맨스>역시 영화 시작의 장소는 술집이었다. 이상하게도 항상 그의 영화에 전매특허로 자리매김한 수다의 장소는 식당인데도 <커피와 담배>같은 사람의 기분이 오가는 수다 영화도 아닌 것이, 지루하게 해줄 법한 수다가 관객의 반항을 귀순시켜준다.

 그 당시에 뚜렷하게 발견할 수는 없을게 뻔했지만 <저수지의 개들>처럼 이 영화는 과거와 현재의 장면이 뒤섞여있다. <저수지의 개들>은 사건이 터진 이후로 그 중간 사이에 과거의 장면들이 존재했지만 이 영화는 그 곳에서 한층 더 복잡한 사건의 배열이 완전히 마지막 사건을 반으로 분열시켜 영화의 처음과 마지막 씬을 장식해준다.

  지금도 타란티노의 작품이라고 하면 가장 난감하게 보는 부분은 영화에 대한 해석이라고 생각된다. 대부분은 틀린 말이 아니겠지만 과대한 해석이 나름대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번은 박찬욱 감독이 타란티노와 인터뷰를 한 적이 있었는데, 그 역시도 궁금했는지 자신의 작품에 대한 현란한 해석을 보면 어떤 기분을 느끼냐고 질문을 했다. 그러자 그는 관객들이 자기 영화를 심오하게 해석했던, 오락 영화 자체만으로 해석 했던 상관을 하지 않는다고 했다. 덧붙여 그는 감독들이 자기도 모르는 자기 사상을 표현할 수 있음을 인정했다. 하지만 그 곳에서 욕을 하기 위해서는 확실히 제대로 알고 욕을 했음하는 생각을 설명했다. 그렇다해도 계속 그를 추앙하는 사람은 너무나도 많아고, 욕하는 사람은 너무나도 없다. 분명히 완벽에 가까운 감독 실력 때문이지만, 그게 지금 그의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