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의 국내 홍보 방식은 작품 자체에서 보여주는 잔인하고 비현실적인 액션 장면을 토대로 설명해준다. 이러한 홍보는 예고편을 토대로 관객이 될 이들에게 자동적으로 대단한 기대감을 부풀게 해주기 마련인데 문제는 대부분의 영화들은 예고편이 전부라는 것이다.
2007년 영화 <그라인드하우스>의 부속품 격 작품인 <플래닛 테러>의 본편 처음 장면에서 <마셰티>의 예고편이 등장한다. 그리고 <마셰티>는 실제로 3년 뒤인 2010년에 개봉한다. 제작 기간이 3년이 걸렸다는 것이 아니고, 사실 3년 전 보여준 <마셰티>의 예고편은 가짜 예고편이다. 로버트 로드리게즈는 대니 트레조를 주인공으로 하여 이 영화를 실제로 각본까지 완성하였으나 아무도 투자를 하지 않아 실제 제작은 단념하고 <스파이 키드>에 대놓고 캐릭터 명을 "마셰티"로 대니 트레조를 출연시키기도 하고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에도 그를 등장 시키는 등 대니 트레조와 관련하여 멕시코인을 주제로 하고자 하는 힌트를 많이 주곤 했다. 하지만 매우 감각적이고 (어쩌면 당시 본편인 <플래닛 테러>보다) 재미있을 것 같은 이 영화의 가짜 예고편은 팬들의 관심을 끌게 하였고 반응 또한 좋았다. 그리고 비로소 성원에 힘입어 영화는 만들어진다. 그래서 실제로 찍힌 영화는 기존의 예고편과 거의 비슷하지만 캐스팅과 스토리가 정식적으로 만들어지는 만큼 한층 극장 영화 답게 다시 찍어졌다.
로버트 로드리게즈는 팬서비스 차원에서 이 영화를 만든 의도가 커보이는데, 전작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와 스토리라인이 매우 비슷하다. 영웅주의적인 차원이 돋보이며 영웅은 정해진 자가 혼자 행동하는 것이 아니며 모두가 영웅의 자격이 된다는 교훈적인 전개의 방식은 전작과 거의 같다. 하지만 이러저러한 사정 덕분에 <플래닛 테러>는 내부의 가짜 예고편이 더 재밌는 영화가 되어버렸고 <마셰티>의 본편은 <플래닛 테러>의 본편보다 조금 심심한 작품이 된다.